아이들에게 두벌식 한글 자판과 세벌식 한글 자판, 그리고 한글 기계화의 영웅이랄까, 위인이랄까, 한글 기계화에는 아마추어였지만 존경스러운 자취를 남기신 안과의사 공병우 박사님의 자취를 이 세상 사람들이 모두 다 알지는 못해도, 우리 아이들이 잠깐 스쳐 지나기라도 했으면 하는 바람이다. 그렇다고, 두벌식 자판을 만든 분들이 나쁜 사람이라고 비판하는 것은 아니다. (음.. 그럼 뭘까.. 이도 저도 아닌가.. 이 비판은 내게 돌려지기를.. )
문제라면, 그 네벌식이라는 것이 문제였달까... 나는 군대에서 정말 타자기로써의 이 네벌식 자판을 써 본 적이 있다. 두벌식과 비슷한 느낌과 방식이었다.
군대에서야 있는 것, 주는 것을 그대로 쓸 수 밖에...
_( 검색: 네벌식 한글자판 https://duckduckgo.com/?t=palemoonsp&q=%EB%84%A4%EB%B2%8C%EC%8B%9D+%ED%95%9C%EA%B8%80%EC%9E%90%ED%8C%90&ia=web )_
하지만, 네벌식도 나름 만들어졌어야 하는 요구가 있었다.
https://namu.wiki/w/%EB%91%90%EB%B2%8C%EC%8B%9D/%EC%9E%90%ED%8C%90%20%EC%A2%85%EB%A5%98
https://namu.wiki/w/두벌식/자판 종류
위의 위키 문서에서 인용....
.....
1982년에 제정된 표준 자판이다. 네벌식 타자기의 배열에서 파생되었다. 당시 대다수를 차지하던 세벌식 타자기는 받침이 있든 없든 모음의 형태가 같기 때문에[1], 예를 들면 '이' 자에 ㄹ받침을 적어 놓으면 '일' 자로 위조할 수 있다는 지적에 의해 1969년, 제3공화국의 연구조정관이었던 황해용이 네벌식 타자기를 표준으로 추진하게 되었다.황해용 인터뷰 및 관련 글 참고.
..... 인용 끝.
문서위조의 가능성 때문이었다 라고 하는 것이다. 그것도 민감한 돈의 액수를 바꾸는 금액의 위조... 참...
한글은 훈민정음이라는 이름으로 우리나라에서 살고 있는 여러 사람을 이롭게 하려는 목적을 품고 이 세상에 처음 나왔다. 그 후에 여러 분들이 나름대로 합리성과 공익을 키우는 과정에 있다. 내가 지금 쓰고 있는 두벌식 자판은... 나름 불편한 면이 있다. 하지만 잘 쓰고는 있다. 그 이후에 나온 속기사용 자판, 핸드폰용 자판 등등을 보면 내가 잘 했다고 그냥 서서, 계속 변화하는 세상에 맞춰 같이 변화하고 적응하지 못하면, 밀려서 사라진다. 좋은 의도였건, 소박한, 하지만 동시에 절박한 위조 방지의 요구였건, 만들어서 나 혼자 팔아 먹으려는 나쁜 의도였건, 좋은 핑계였건, 그 모든 것을 떠나.. 공병우 박사님도 서 계시지는 않았다. 계속 열심히 개량과 개발을 계속하셨다고 한다. 다만 여러 사람들을 끌어 들이지는 못하셨던 듯하고, 오래 살지 못하셨다는 것이 문제랄까, 개인의 한계였다고 할 수 있다.
_( 검색: 세벌식 공병우 자판 )_
https://duckduckgo.com/?t=palemoonsp&q=%EC%84%B8%EB%B2%8C%EC%8B%9D+%EA%B3%B5%EB%B3%91%EC%9A%B0+%EC%9E%90%ED%8C%90&ia=web
https://pat.im/896
-
https://librewiki.net/wiki/%ED%8C%8C%EC%9D%BC:%EA%B3%B5%EB%B3%91%EC%9A%B0_%EC%9E%90%ED%8C%90%EC%9D%98_%EC%A7%9C%EC%9E%84%EC%83%88.png
-
_( 검색: 공병우 세벌식 )_
https://duckduckgo.com/?t=palemoon&q=%EA%B3%B5%EB%B3%91%EC%9A%B0+%EC%84%B8%EB%B2%8C%EC%8B%9D&ia=web
-
_( 공병우, ‘세벌식 글자판’ 통일하지 못하고 떠나다 )_
https://ppss.kr/archives/105169
-
위키백과 공병우 박사
https://ko.wikipedia.org/wiki/%EA%B3%B5%EB%B3%91%EC%9A%B0
-
위키백과 세벌식 자판
https://ko.wikipedia.org/wiki/%EC%84%B8%EB%B2%8C%EC%8B%9D_%EC%9E%90%ED%8C%90
-
-
문제라면, 그 네벌식이라는 것이 문제였달까... 나는 군대에서 정말 타자기로써의 이 네벌식 자판을 써 본 적이 있다. 두벌식과 비슷한 느낌과 방식이었다.
군대에서야 있는 것, 주는 것을 그대로 쓸 수 밖에...
_( 검색: 네벌식 한글자판 https://duckduckgo.com/?t=palemoonsp&q=%EB%84%A4%EB%B2%8C%EC%8B%9D+%ED%95%9C%EA%B8%80%EC%9E%90%ED%8C%90&ia=web )_
하지만, 네벌식도 나름 만들어졌어야 하는 요구가 있었다.
https://namu.wiki/w/%EB%91%90%EB%B2%8C%EC%8B%9D/%EC%9E%90%ED%8C%90%20%EC%A2%85%EB%A5%98
https://namu.wiki/w/두벌식/자판 종류
위의 위키 문서에서 인용....
.....
1982년에 제정된 표준 자판이다. 네벌식 타자기의 배열에서 파생되었다. 당시 대다수를 차지하던 세벌식 타자기는 받침이 있든 없든 모음의 형태가 같기 때문에[1], 예를 들면 '이' 자에 ㄹ받침을 적어 놓으면 '일' 자로 위조할 수 있다는 지적에 의해 1969년, 제3공화국의 연구조정관이었던 황해용이 네벌식 타자기를 표준으로 추진하게 되었다.황해용 인터뷰 및 관련 글 참고.
..... 인용 끝.
문서위조의 가능성 때문이었다 라고 하는 것이다. 그것도 민감한 돈의 액수를 바꾸는 금액의 위조... 참...
한글은 훈민정음이라는 이름으로 우리나라에서 살고 있는 여러 사람을 이롭게 하려는 목적을 품고 이 세상에 처음 나왔다. 그 후에 여러 분들이 나름대로 합리성과 공익을 키우는 과정에 있다. 내가 지금 쓰고 있는 두벌식 자판은... 나름 불편한 면이 있다. 하지만 잘 쓰고는 있다. 그 이후에 나온 속기사용 자판, 핸드폰용 자판 등등을 보면 내가 잘 했다고 그냥 서서, 계속 변화하는 세상에 맞춰 같이 변화하고 적응하지 못하면, 밀려서 사라진다. 좋은 의도였건, 소박한, 하지만 동시에 절박한 위조 방지의 요구였건, 만들어서 나 혼자 팔아 먹으려는 나쁜 의도였건, 좋은 핑계였건, 그 모든 것을 떠나.. 공병우 박사님도 서 계시지는 않았다. 계속 열심히 개량과 개발을 계속하셨다고 한다. 다만 여러 사람들을 끌어 들이지는 못하셨던 듯하고, 오래 살지 못하셨다는 것이 문제랄까, 개인의 한계였다고 할 수 있다.
_( 검색: 세벌식 공병우 자판 )_
https://duckduckgo.com/?t=palemoonsp&q=%EC%84%B8%EB%B2%8C%EC%8B%9D+%EA%B3%B5%EB%B3%91%EC%9A%B0+%EC%9E%90%ED%8C%90&ia=web
https://pat.im/896
-
https://librewiki.net/wiki/%ED%8C%8C%EC%9D%BC:%EA%B3%B5%EB%B3%91%EC%9A%B0_%EC%9E%90%ED%8C%90%EC%9D%98_%EC%A7%9C%EC%9E%84%EC%83%88.png
-
_( 검색: 공병우 세벌식 )_
https://duckduckgo.com/?t=palemoon&q=%EA%B3%B5%EB%B3%91%EC%9A%B0+%EC%84%B8%EB%B2%8C%EC%8B%9D&ia=web
-
_( 공병우, ‘세벌식 글자판’ 통일하지 못하고 떠나다 )_
https://ppss.kr/archives/105169
-
위키백과 공병우 박사
https://ko.wikipedia.org/wiki/%EA%B3%B5%EB%B3%91%EC%9A%B0
-
위키백과 세벌식 자판
https://ko.wikipedia.org/wiki/%EC%84%B8%EB%B2%8C%EC%8B%9D_%EC%9E%90%ED%8C%90
-
-
Comments
Post a Comment